[Linux] 부팅과정

개인적으로든, 업무적으로든 많이 사용하는 OS인 Linux… 내가 과연 많이 알고 있는건가? 라는 의구심이 들었다. 오픈소스이면서 안정성, 보안성, 유연성을 가지고 있는 OS이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나 Linux의 핵심 부분은 커널이며,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프로그램과 상호 작용을 관리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렇다면 Linux에서 커널이 동작하는 시점은 언제이고, 맨 처음부터 커널들이 올라와서 일을 하는 것인지… 여러가지 궁금한 점들이 생겼었다. 그래서 … Read more

[Linux] netstat 명령어

현업에서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인 netstat에 대해 다뤄볼까 한다. 간단한 명령어기도 하고, 자주 쓰이는 옵션들은 한정적이라 깊게 다룰만한 명령어는 아니지만 정말 유용하게 쓰인다. netstat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해주는 명령어인데, 주로 현재 서버에서 열려있는 port 및 해당 port를 물고 있는 프로세스 확인의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단순하게 netstat을 쳐보면 어지러운 글자들의 향연이 펼쳐진다. 그렇기에 필요한 … Read more

[Linux] fstab 파일에 대한 이해

서버를 관리하는 엔지니어면 대부분 알고 있는 fstab에 대해서 기록하고자 한다. fstab은 한마디로 “서버 부팅단계에서 마운트되어야 할 볼륨 정보를 담은 파일”이다. 서버 부팅중 에러가 나는 경우의 절반은 fstab이 차지했던 것 같다.(이제는 별로 그럴 일은 없지만..) 먼저 간단하게 fstab에 예는 아래와 같다. fstab 파일 /etc/fstab에 존재하고 있으며 크게 6개의 정보로 이루어진다. 1번 – UUID 또는 /dev/vdb(장치명)으로 표현되는데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