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nkins] Jenkins 설치


Linux 기반의 Jenkins를 설치했던 방법을 추후에도 참고할 것 같아 작성했다.

Jenkins의 설치 방법은 여러가지(Docker, Kubernetes, Linux, Windows)가 있는데, 기본적인 Linux로 설치를 하였고 Rocky Linux 기반으로 진행했다.

Jenkins는 최신 Release 또는 Long Term Support 둘 중 1개를 선택할 수 있는데, 아무래도 Long Term Support가 좀 더 안정적이기에 해당 버전을 설치했다.

wget -O /etc/yum.repos.d/jenkins.repo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repo
rpm --import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io-2023.key
yum upgrade (생략가능)
yum install fontconfig java-17-openjdk
yum install jenkins
systemctl daemon-reload

위 내용은 아래 공식 문서를 참조하여 설치했다.
(https://www.jenkins.io/doc/book/installing/linux/#red-hat-centos)

systemctl enable jenkins
systemctl start jenkins
systemctl status jenkins

너무나 간단한 내용이지만 사실 Jenkins는 설치보다는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조금 다르게 설치한 부분은 Jenkins의 기본 경로를 변경하였다.

Default 경로는 /var/lib/jenkins가 되겠지만 위처럼 설치했을 경우 아래의 방식으로 기본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systemctl status jenkins

해당 경로의 jenkins.service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vim /usr/lib/systemd/system/jenkins.service
Environment="JENKINS_HOME={원하는 PATH}"  <- 해당 부분을 수정한다.

위 설정파일에는 추가적으로 포트변경이 실행 계정 등 여러가지 설정 및 옵션들을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jenkins를 재시작하면 해당 경로로 workspace를 잡게 된다.

설치가 완료되면 Jenkins Install GUI가 나오는데, 별다른 어려움 없이 필요한 기본 Plugin들만 설치해줬다.



현재는 Jenkins를 Kubernets 위에 jenkins agent들을 pod로 생성해서 업무에 사용하고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다뤄보고 작성해야할 것 같다.

Leave a Comment